오늘은 일본에게 한국의 역사를 배웁니다.
일본 인터넷에 있는 조선왕릉 이야기 입니다.
일본인 입장에서 조선왕릉을 설명하고 또한 어떻게 찾아 갈수 있는지를 설명했는데 외국의 설명이라고 하기엔 너무 자세한 내용에 정작 한국인인 제가 많이 배웠네요.^^
일본의 인터넷을 번역기와 간단한 짧은 일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역이 생길수 있습니다.
(최대한 원본의 느낌을 살리고자 글씨체와 틀을 그대로 살렸습니다.)
유네스코 세계 유산 조선시대의 왕이 자는 「조선 왕릉」 |
1392년부터 518년간 계속 된 조선 왕조.그 역대왕의 무덤인 「조선 왕릉」은, 서울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40기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문화적 가치가 높고 아직도 제사가 치뤄지는 점, 상세한 기록물등이 우수하다고 여겨져 2009년 6월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되었습니다. |
조선 왕릉이란? |
|
|
왕을 만나러 가자 추천 왕릉 소개 |
<동쪽9능. 9개의 무덤이 모이는 최대 규모의 능> 서울 동쪽,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이름대로 9개의 능이 모여 있어 왕릉군으로서는 최대 규모입니다. 능내는 자연과 어우러진 공원이 되어 있어, 산책이나 물장난을 즐기는 가족 동반도 좋습니다. | |||
|
○건원능 조선 왕조 제 1대째의 왕인 태조(이성계)의 능.고향인 함경도로부터 흙을 가져왔다고 전해지고 있고 봉분이 참억새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왕릉에서는 많이 볼 수 없는 신도비(신도비.왕의 생전의 행적을 적은 비)도 있습니다. | |||
|
○목능 동 9능의 가장 안쪽에 있는, 제14대선조와 왕비, 왕후의 능.아래는 동쪽9능의 다른 장소에 있었습니다만, 좋은 기운이 없다는 이유로 이동했습니다. 1개의 정자각의 뒤로 3개의 언덕이 있고 왕과 왕비가 각각 단독으로 무덤을 만드는, 「 동원이강」의 형식입니다. | |||
| |||
| |||
·주소:경기도 구리시동9능길 233 ·전화 번호:031-563-2909 ·개원시간:(3~10월) 6:00~18:30, (11~2월) 6:30~17:30 ※입장은 폐원 1시간전까지 ·요금:일반 1,000원, 청소년(7~18세) 500원 ※6세 이하, 65세 이상은 무료 ·휴일:매주 월요일 ·일본어, 일본어 표시:일부 간판에 일본어 표시 있어 ·홈 페이지:http://donggu.cha.go.kr(한국어, 영어) ·교통:전철 중앙선 구리(구리, Guri) 역 택시 5분 정도 ·바리어 프리 시설:휠체어용 화장실, 휠체어 렌탈(정문 티켓 판매장에서), 일부 길은 포장 없음 |
<선릉·정릉 시내에서 찾아가는 길, 시민의 휴식의 장> 선릉정릉이라고도 불리는 지하철 2호선·철도 분당 선릉역으로부터 도보 5분 정도.서울시내로부터 가장 간단하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매점이나 벤치도 있는 공원으로서 정비되고 있어 시민의 휴식의 장소가 되어 있습니다. | |||
|
○선릉 제9대성종과 2번째의 계비의 능.임진왜란 때 파손한 것을 시작으로 몇 번이나 화재등의 재난을 당했습니다. 다른 릉과 달리 왕비의 능에는 병풍석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 |||
|
○정릉 성종의 2번째의 아들, 제11대 중종의 왕릉.원래는 서울시의 북서부, 경기도 고양시에 능이 만들어질 예정이었지만, 우여곡절을 거쳐 현재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왕의 능만이 단독으로 있는, 단능의 형식 입니다. | |||
|
◆찾아가기
|
문화와 자연이 조화를 이룬, 역사의 숲에 |
조선 왕실 문화의 정신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조선 왕릉」.역사 탐방에는 안성맞춤의 장소입니다. 또 왕릉의 주위에는, 소나무를 시작으로 여러가지 수목이 우거져 있습니다. 자연과 문화가 어울리는 조용한 숲을 느긋하게 과거의 왕을 방문해 보면 어떻습니까. | |||
|
'세계속 한국 > 일본인 한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표.! 일본인이 뽑은 한국음식의 모든 것.!! (2) | 2009.12.13 |
---|---|
일본 사이트에서 본 한국.. 그리고 느낀점 (10) | 2009.12.12 |
욘사마를 능가하는 한류배우 (6) | 2009.12.04 |
일본인의 한국여행기 -마지막회(블로그 주인의 메시지 첨부) (2) | 2009.12.03 |
평범한 일본인의 한국여행기 8 (7) | 2009.12.01 |